티스토리 뷰

반응형

 

화재로 인해 사랑하는 아이들과 가족을 볼 수 없다면 마음이 어떨까요?  아파트 화재 시 옥상, 지상층, 계단, 화장실 어디로 대피해야 할까요?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화재 시 대피 방법과 대처 방법을 한 번만 알아두시면 끔찍한 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화재 시 대피 방법

소방청 통계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8233건의 화재로 사망 111명, 부상 964명 등 1075명의 인명 피해가 났다고 합니다. 대피 중 40.37% 발생했습니다. 무조건 현관을 통하여 밖으로 나가는 것은 화염과 연기로 위험할 수 있습니다. 화재감지기가 울리게 되면 자신의 집과 자신의 집이 아닌 경우를 판단하여 상황에 맞게 대피해야 됩니다. 

 

자신의 집에 불이 났을 때

아파트 화재아파트 화재아파트 화재

 

  • 작은 불일 경우 소화기로 진화하고 천장까지 올라가는 큰 불일 때는 현관을 통해 지하층 또는 지상층으로 이동해야 됩니다. 이때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화재대피용방독면, 화재대피용방연마스크가 있으면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없으면 물을 적신 손수건을 사용하여 대피하셔야 됩니다.
  • 현관을 나갈 수 없는 때는 경량칸막이를 부수고 옆 집으로 대피하거나 완강기를 이용하여 대피해야 됩니다. 실내에 대피공간이 있다면 실내대피공간으로 대피하셔야 됩니다.
  • 위 모든 것이 되지 않을 때는 화장실로 이동하여 젖은 수건으로 연기 유입을 차단하고 물을 사용하여 화장실 문에 뿌려주며 119를 기다려야 됩니다. 

 

참고로 1992년 10월 이전에 허가받아 지어진 아파트는 피난시설과 기구가 없으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안전을 위하여 설치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집이 아닌 곳에 불이 났을 때

아파트 화재

  • 불길이나 연기가 들어오지 않는 다면 젖은 수건 등으로 연기 유입을 차단하고 창문을 닫는 것이 좋다.
  • 화염이나 연기가 들어온다면 지상 또는 옥상으로 대피하고 현관으로 대피하지 못할 경우에는 경량칸막이 완강기 등을 이용하여 대피해야 된다.

화재는 예방이 최우선이지만 그렇지 못 할 경우에는 대피요령을 숙지하고 소화기, 소화전, 완강기 사용법을 알아 두는 것은 사랑하는 사람들을 지켜주는 최선의 방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