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환급금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시죠!?
나라는 연말정산 환급금을 그냥 주지 않아요.
개인의 환급금이 얼마인 정확히 알 수가 없기 때문인데요.
종이 계산서, 기부금 영수증, 학원비 수강료 등 실제 사용했지만
국세청에 올라오지 않는 자료들이 있으니까요.
그래서 직장인들은 국세청 등록되어 있는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회사 사이트에 등록하고 누락된 자료들을 보충해서 올려야 환급금이 결정이 돼요.
연말정산은 기간 내에 하셔야 되고 자료 입력 후 회사마다 정해놓은 기간이 끝나면 조회가 가능해요.
연말정산기간
대부분의 기업은 1월 3, 4째 주 정도까지 입력을 마무리해야 돼요.
환급금은 2월 정도에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정정도 가능하고 확정되면 3월에 월급과 함께 입금돼요.
- 회사 준비기간 : 2023년 12월 ~ 2024년 1월 초중
- 근로자 연말정산 기간 : 2024년 2월까지 입력 및 확인
- 연말정산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 2024년 2월까지
- 연말정산 환급 : 3월 월급날
환급금 조회하러 가기 (연말정산 입력하기 전 모의 조회)
근로자가 가장 궁금해하는 환급금은 어디서 확인이 가능할까요?
정확한 금액은 홈택스에서 확정되어야 알 수 있으나 등록한 자료로 대략적인 조회가 가능해요.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로 들어가 연말정산 자동계산을 클릭합니다.
'총급여·기납부세액 수정'에 들어가요.
'총급여'에 급여를 입력하고 계산하기 클릭 후 적용하기를 클릭해요.
'공제항목명'에서 인적공제 등을 개인에 맞게 입력해요. 아래로 내리면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입력해요.
입력이 완료되면 '계산결과상세보기'를 클릭해요.
스크롤을 맨 아래로 내리면 '추가납부 세액'에 - 금액이 나오면 환급받을 금액이에요.
연말정산 입력이 완료된 후 확이해야 금액을 알 수 있어요. 연말정산 입력이 완료된 후 계산해 보세요.
연말정산 월세공제 조건 및 서류신청
주민등록등본 발급하기 전입세대 열람하기 주택임차료 월세액 세액공제 신청 월세 공제금액이 얼마나 될까요? 월세만큼 다 돌려줄까요? 그렇다면 좋겠지만 전액을 공제해주지 않습니다. 연간
ijdinow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