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이면서 소득과 재산의 조건이 맞으면 월 20만 받을 수 있어요. 1차에서 9만 7천 명이 혜택을 받았습니다. 이번에는 2차 지원입니다. 기존 1차 또는 지자체에서 월세를 받고 있어도 종료되었다면 신청 가능 합니다. 목차 월세지원신청하기👉 지원 대상 및 조건 만 19 ~ 34세 이하의 청년 2024년 신청 : 1989년 ~ 2005년생 2025년 신청 : 1990년 ~ 2006년생 월세 70만 원 이하 보증금 5,000만 원 이하 부모와 세대가 분리되어 주택에 거주하는 무주택자 청년가구 : 소득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1인가구 133만 원, 재산가액 1억 2,200만 원 이하) 원가구 :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3인가구 471만 원, 재산가액 4억 7,000만 원 이하) 청약통장을 가..
2월 26일부터 기후동행카드(기동카)를 이용하는 만 19~34세 청년에게 7000원 할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 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는 6만 2000원에 구매할 수 있었다. 따릉이를 이용하게 되면 3000원을 추가하면 된다. 서울시 교통과 따릉이를 이용하면 6만 5000원에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 기동카할인신청👉 할인 대상 서울시에서 생활하는 만 19 ~ 34세 청년이면 거주지와 상관없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할인 금액 대중교통 이용시 : 6만 2000원 > 5만 5000원 대중교통 + 따릉이 : 6만 5000원 > 5만 8000원 할인기간 2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기존금액으로 사용하고 7월 별도 환급 신청을 통해 할인액을 소급 받을 수 있다. 7월 부..

정부수입인지 환급 받는 방법을 알려 드릴게요. 국세청홈택스에 로그인 후 첨부 사진 순서대로 따라오시면 됩니다. 전체적인 흐름도를 보고 따라하셔도 됩니다. 국세청홈택스 바로가기👉 정부수입인지 환급 받기 흐름도 국세청홈택스 로그인 > 검색창 '인지세환급 > '인지세 환급(공제)신청' 클릭 > 환급구분 선택 (저는 종이문서용) > 확인 > 코드명 선택 > 계좌은행, 계좌번호 기입 > 신고내역 > 과세문서구분 (자기에세 맞는 인지) > 통당세액, 과오납한 통수, 환급(공제) 신청세액, 당초 납부일, 환급(공제) 신청사유 > 등록하기 > 첨부서류 파일선책 > 저장 후 다음 이동 > 확인 정부수입인지 환급 사진보고 따라하기 정부수입인지 환급 받는 방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하나씩 사진을 통해 상세히 알려 드리겠습니..

2024년 1월 31일부터 '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가 시작됩니다. 지난해 약 12만 명이 신용대출을 갈아탄 결과 1.6% 포인트의 금리가 인하되었습니다. 전세대출 갈아타기도 이에 못지않은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합니다. 대상, 한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세 월세 갈아타기 대상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등 모든 주택에 대해 '보증부 전세자금대출'을 받은 사람이 기존 대출 후 3~12개월, 22~24개월에만 갈아탈 수 있으며 아래에 해당되는 분들은 갈아타기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기존 대출이 연체 또는 법적 분쟁 상태인 경우 정부가 지원한 저금리 정책금융상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지자체와 금융사 간 협약체결을 통해 취급된 대출 보증기관과 협의를 거쳐 이르면 7월부터 전세대출 뒤 3~24개월 모든..

서울과 경기도를 왕복하는 직장인들에게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카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 모르시겠죠! 두 개 카드의 특징을 비교해 보시면 선택이 쉬워질 것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서울시가 2024년 1월 23일부터 월 6만 2000원으로 서울시 대중교통, 지하철, 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고 3000원을 추가하면 자전거 서비스 따릉이 또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신청 사용지역👉🏻 K패스카드 K패스카드는 정부가 시행하는 교통카드이며 거주 지역에 관계없이 189곳의 지자체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금액에 따라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신청 및 사용지역👉🏻 기후동행카드, K패스 비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3가지 유형에 따라 ..

K 패스는 정부가 시행하는 교통카드입니다. 거주 지역에 관계없이 189곳의 지자체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시만 사용 가능한 기후동행카드와 다르게 전국에서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K 패스 카드 신청 방법 알뜰교통카드를 사용 중인 이용자는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교통카드로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신규 가입자 신청은 2024년 5월부터 신청 가능하며 K-패스 누리집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1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K 패스 카드의 사용은 5월부터 가능합니다. K패스 사용지역과 환급범위 전국 전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농어촌버스 등, GTX-A 노선 및 광겨버스 이용 가능 환급 범위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사용하면 1~60회까지 지출 금액에..